여지껏 추가된 하드를 RAID로 묶는 작업은 이전 페이지에서 많이 했지만
첫 설치때부터 RAID를 사용한적은 한번도 없었다
리눅스 시스템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RAID로 하는 실습을 이 페이지에서 하도록 하겠다.
VirtualVM에서 가상머신을 추가한다.
리눅스
CentOS
next
차례대로 클릭
중간에 나오는 용량은 80G로 했다
공간이 부족하다면 20~30G선에서 해도 될것이다.
1. 먼저 하드를 만들자. RAID1로 만들 것이기 때문에
똑같은 크기의 하드가 필요하다.
2. CD롬에 CentOS iso를 추가해준다.
3. OK 클릭
그리고 부팅을 하면
CentOS 설치가 나올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그놈으로 설정하고
인터넷을 연결해주고
시스템 - 설치대상으로 들어간다.
하드를 두개 다 클릭하고
파티션을 설정한다를 클릭
완료를 누른다.
그러면 위의 화면이 뜰것이다.
표준 파티션으로 맞춰준 다음
+ 클릭
swap을 선택하고 운영체제 설치용으로 2GB를 써준뒤 Ok를 누른다
이부분 캡쳐하는 것을 잊어버렸다;
위와 같이 셋팅해주자
그리고 다시 +를 클릭
이번에는 루트로 맞춘 뒤 용량을 공백으로 하자
나머지 용량을 전부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셋팅을 위로 맞추자
그리고 완료를 누른다.
위의 창이 뜬다면 변경사항 적용 클릭
설치를 시작한다
설치중
전부 완료됬다.
자질구레한 설정은 스킵했다. 어차피 테스트용이니 적당히 맞추고
터미널을 열자
mdadm --detail --scan 으로
가동중인 하드를 살펴보자
2개가 돌아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mdadm --detail /dev/md/root 로 하드 설정을 확인해보자
raid1로 제대로 설정되었고
80g를 사용하고있다.
싱크중인 두개의 하드도 확인된다.
이번엔 의도적으로 하드를 제거해보자
RAID1의 장점은 백업적용이어서 한쪽의 하드가 망가져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다.
그러니 한쪽 하드가 망가져도 데이터는 온전해야한다.
종료 후 편집 창에서
하드 제거 클릭
다시 부팅 후 mdadm --detail /dev/md/root 로 설정을 확인해보자
한쪽 하드가 제거됨에도 OS가 잘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텔넷(telnet) 서버, 클라이언트 설치 및 실습 (0) | 2018.01.20 |
---|---|
리눅스 - 쿼터(사용자별 공간 할당) (0) | 2018.01.20 |
리눅스 - LVM(Logical Volume Manager) 구현 (0) | 201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