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M을 구현해보도록 하자
LVM은 하드 디스크 두개를 묶어 하나의 그룹으로 만든 다음
파티션을 나누듯이 일정 크기로 잘라내는 하드 구분하는 관리형태이다.
그림과 같이 2TB 3TB로 된 하드를
하나로 묶어 볼륨그룹으로 만든 다음
3개의 논리그룹으로 나눌 것이다.
먼저 하드를 만들자
두개를 뚝딱
테스트이기 때문에 2g와 3g로 만들었다.
부팅 후 ls -l /dev/sd* 로 검색을 해보자
설정 안된 하드가 있을 것이다.
그 하드를 fdisk 명령어로 설정해주자
거의 디폴트값으로 진행해주면 되는데
하드의 System은 Linux LVM으로 만들어줘야한다.
LVM의 헥사코드는 8e이다
이부분만 유의하도록 하자.
sdc 하드도 똑같은 작업을 해주자.
그리고 하드를 물리볼륨으로 만들어줘야한다.
볼륨그룹으로 만들기 전에 꼭 필요한 작업이다.
sdb1과 sdc1을 작업해준다.
그 다음 물리작업이 끝난 하드 파티션을 볼륨그룹으로 묶어주자
vgcreate 이름 경로
명령어로 묶어주면 된다.
vgdisplay 명령어로 잘 묶였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그 다음은 lvcreate 명령어로 볼륨그룹을 나누어 주도록 하자
lvcreate --size 크기 --name 이름 나눌볼륨그룹
으로 작성하면 된다.
3개로 나눌 생각이니 3번 작업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볼륨그룹을 나눌 때는
남은 볼륨그룹의 나머지를 전부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size 대신 --extents 100%FREE를 사용하면 된다.
그 다음 mkfs로 나눈 논리 그룹을 포맷해준다.
3개 전부 다 작업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mkdir로 디렉토리를 만든다음
각자의 논리 그룹을 마운트해준다
df로 확인하면 잘 마운트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vi /etc/fstab 명령어로
재부팅되도 초기화 되지 않게끔 설정을 잡아주고 wq로 저장하고 나와주자
이러면 모든 LVM 작업과정이 끝난다.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텔넷(telnet) 서버, 클라이언트 설치 및 실습 (0) | 2018.01.20 |
---|---|
리눅스 - 쿼터(사용자별 공간 할당) (0) | 2018.01.20 |
리눅스 - RAID 시스템에 CentOS 설치 (0) | 201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