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에서는 센드메일 서버를 만들어보겠다.
센드메일 서버의 개념은 마지막에서 정리할 것이다.
안되는 부분이 막혀서 이틀동안 삽질 했기에 이미지 수정이 많다.
본래는 네이버와 다음으로 테스트를 했는데
무슨 이유인지 네이버가 테스트가 안되길래
yandex와 nate로 바꾸어서 테스트를 했다.
메일을 보내는 역할을 하는 서버1 (마스터 네임 서버도 겸한다)
메일을 받는 역할을 하는 서버2
클라언트 2개
총 4대의 VMware로 진행하였다.
먼저 서버1(yandex) 설정
yum -y install sendmail
먼저 센드메일을 깔자
다음은 hostname을 바꾸자
hosts에 mail.yandex.com 을 추가하자
테스트 겸 내 자신한테 메일을 보낼 건데 그때 사용할 것이다.
로컬 호스트 네임에
mail.yandex.com 을 등록하자
여기도 호스트네임 mail.yandex.com 등록
이 작업 그대로 메일을 보낼 서버(nate.com)에도 할것이다.
네이트로 바꾸어서 그대로 해주면 된다.
다음은 마스터 네임 서버 설정을 할것이다.
먼저
yum -y install bind bind-chroot
를 깔고 설정에 들어가자
vi /etc/named.conf 에 들어가서 저것들을 설정해주고 스크롤을 내린다.
우리가 사용할 yandex.com 과 nate.com 의 존을 설정해주어야한다.
이부분도 중간에 수정해서 이미지를 수정했다.
방금 설정한 존에서 참조하는
yandex.com.db 와 nate.com.db
파일을 만들어준다
설명은 이전 포스트(http://meaownworld.tistory.com/63?category=713992) 를 참조하자
named-checkconf
named-checkzone yandex.com.db yandex.com.db
named-checkzone nate.com.db nate.com.db
를 해서 문법 오류를 잡아내자
서버 통신 실습이기에
방화벽이 방해될 수 있다
아얘 꺼버리자
서버 1의 마스터 네임 서버를 실행해준다.
핑을 내리거나 스샷처럼 nslookup 으로
mail.yandex.com 과 mail.nate.com을 통해서
접근이 잘 작동되는지 확인하자
그리고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
자기자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의 IP를 쳐준다(ifconfig로 확인하고 하자)
이 작업을 해주게 되면 vi /etc/resolv.conf 에서 바꿀 필요가 없다.
근데 나는 왠지 192.168.111.2 에
네임서버가 하나 추가되더라
그냥 재부팅마다 수정해주는 식으로 했다.
이 작업은 네임서버를 설정해야하는 작업이기에
서버2도 작업을 해주자. 똑같이 해주면 된다.
클라이언트1도 네임서버를
서버1로 바꾸어준다.
테스트를 해보니 잘 된다.
클라이언트2도 작업을 해준다
이쪽은 윈도우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명령프롬포트로 작업한다.
네임서버를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포트가 필요하다.
먼저 ipconfig 를 통해
네트워크 이름을 알아낸다
netsh interface ip set dns "{이름}" static { 마스터 네임 서버 IP }
이렇게 하면 반 정도 작업이 끝난다.
다음 포스트에서 이어진다.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센드메일 서버 구현 2 (0) | 2018.01.26 |
---|---|
리눅스 - 라운드 로빈 서버 (0) | 2018.01.24 |
리눅스 - 마스터 네임 서버 만들기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