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트에서 캐싱네임서버를 만들어보았다.
캐싱네임서버는 루트네임서버를 통해 IP주소를 전달받는 형식이었지만
이번에 만들 마스터네임서버는 직접 설정한 IP주소를 db를 조회해서
그에 기록된 IP 주소를 직접 반환하게끔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먼저 httpd를 깔고 구동시켜주자
그리고 firewall-config 에 들어간다.
http를 체크하고 재불러오기
그리고 vi /var/www/html/index.html 로
원하는 텍스트를 편집하자.
나중에 우리가 띄어줄 메시지이다.
ftp 서버까지 동시에 실습할 것이다.
때문에 다른 서버컴퓨터를 준비한 뒤
(내 경우에는 다른 가상 서버 머신)
yum -y install vsftpd
명령어로 ftp 서버를 깔아주자.
firwall-cmd --permanenet --add-service=ftp
firewall-cmd --reload
를 해주자
x윈도우에서는 마우스 작업으로 방화벽을 해제했지만
이 서버에는 x윈도우가 안깔려있기에
명령어로 작업을 해줘야 한다.
ftp 서버를 시작해준다.
vi /etc/named.conf 로 작업을 해주고
/var/named 경로에 centos.com.db 파일을 하나 만든 뒤
작업을 해줄 것이다.
먼저 vi/etc/named.conf 작업
centos.com 에 접근했을 때의
상세 메뉴얼을 기록한 것이다
type은 마스터 타입이고
file 은 "우리가 나중에 만들 /var/named/centos.com.db 를 참조해주세요."
라고 기록한 것이다.
다음으로 centos.com.db
자세하게는 다루지 않을 것이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TTL(Time To Live)의 약자이다.
@ 는 /etc/named/conf 에 정의된 centos.com을 의미한다.
IN은 internet을 의미한다
SOA(Start Of Authority)의 약자로 권한의 시작을 의미한다
괄호 안에는 차례대로
(버전정보, 상위 네임 서버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요청하는 간격, 상위 네임 서버에 만제가 발생했을 때 재 접속 간격, 상위 네임 서버에 접속하지 못했을 경우 이전의 정보를 파기하는 간격, 이 시간 이후에 정보가 삭제)
H는 Hour D는 Day W는 Week 를 의미한다.
밑에는 간단하다. www.centos.com 으로 접속했을 때
ftp.centos.com 으로 접속했을 때의 반환 IP 값을 돌려주는 내용을 테스트 한 것이다.
이렇게 하고 다른 컴퓨터에서
vi /etc/resolv.conf의 네임서버를
작업한 서버 컴퓨터의 IP( 내 경우 192.168.111.137) 로 바꾸고
인터넷을 이용해보자
작업되있지 않는 사이트의 경우 루트네임서버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사이트로 접속을 도와준다.
하지만 centos.com 은 우리가 여지껏 작업을 해 놓았기 때문에
그 화면으로 연결해준다.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서 웹에서 뒤져봤는데 이런 내용이 나왔다
/var/www/html
is just the default root folder of the web server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6197663/what-is-var-www-html
아무래도 /var/www/html 경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했을 때 가장 기본이 되는 페이지를 설정하는 경로인 것 같다. )
다음으로는 ftp 를 테스트해보자.
클라이언트로 사용할 컴퓨터에서
ftp를 깔아보자.
그리고 ftp를 시작해주면
접속이 가능하다.
이의 로직을 그림으로 정리해보았다.
네이버를 보여준 과정은
3의 과정에서 리턴값이 없을 경우
루트 네임서버를 통해 IP를 전달받고
4의 과정으로 이어진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이상으로 마스터 네임 서버 만들기 실습을 마친다.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라운드 로빈 서버 (0) | 2018.01.24 |
---|---|
리눅스 - 도메인 체계, 캐싱전용네임서버 만들기 (0) | 2018.01.24 |
리눅스 - 네임 서버 개념, ip 주소 획득 경로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