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흔히
www.naver.com
www.daum.com
이런 형식으로 접속한다.
본래 각 웹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는
각 고유의 IP주소를 사용한다.
이런 IP주소를 문자열로 사용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네임서버, DNS 이다.
리눅스에서 연습을 해보자
터미널에서 nslookup을 해보자
nslookup 에서
www.naver.com
www.daum.com
등을 하면 아이피 주소가 나타나게 된다.
이 ip주소를 직접 입력하게 되면
웹 홈페이지가 나오게 된다.
예를 들어 네이버는
125.209.222.141
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네임 서버를 이용해서
ip주소를 받게 된다.
www.naver.com 이라고 입력하는 순간
네임서버로 www.naver.com 라는 문자열 데이터가 넘어가고
네임서버에서 www.naver.com 에 대응하는
IP인 125.209.222.141를 넘겨줘서
웹브라우저는 125.209.222.141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리눅스에서는 이 네임서버를
/etc/resolv.conf
에서 확인할 수 있다
cat /etc/resolv.conf
를 입력해보자
nameserver 192.168.111.2
라고 적힌 부분이 있다.
이 곳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서버는 규모가 있는 곳이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곳도 많고
통신사 등에서도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는 곳이 많다.
테스트를 위해 이 주소를 인위적으로 수정해보자
주소 앞에 #을 넣어 주석처리했다.
더 라인은 더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브라우저를 키고 아무 사이트나 들어가보자.
안된다.
네임서버로 인해 IP 주소를 전달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도 IP 주소로 인한 직접 접속은 작동한다)
사실 이 문자열들은 네임서버 이전에
로컬에서도 관여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etc/hosts 에서 관리한다.
vi /etc/hosts
로 들어가보자
여기서 아래와 같이
125.209.222.141 wwww.naver.com
라고 입력해보자
그리고 네이버에 접속하면
잘 된다.
네임서버가 작동하지 못하는데도
로컬에서 문자열을 읽어 IP 주소를 반환하여
웹사이트에 접근한 것이다.
테스트는 끝났으니 다시 주석처리를 풀어두도록 하자
정리하자면
/etc/hosts 에서 로컬 탐색을 한 후
없으면 /etc/resolv.conf 로 네임서버 탐색 후 네임서버가 반환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다.
이미지로 정리해봤다.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도메인 체계, 캐싱전용네임서버 만들기 (0) | 2018.01.24 |
---|---|
리눅스 - SSH, VNC CentOS, 윈도우 (1) | 2018.01.22 |
리눅스 - 텔넷(telnet) 서버, 클라이언트 설치 및 실습 (0) | 2018.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