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진
개발 그라운드
타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프로그래밍 (65)
      • Java (28)
      • Android (1)
      • Web (19)
      • Web-Spring (12)
      • R (5)
      • Angular (0)
    • 운영체제 (17)
      • Linux (14)
      • Docker(vmware) (3)
    • 클라우드 (4)
      • aws (0)
      • aws_handson (4)
    • 개발문제해결 (25)
      • Exception (12)
      • 알고리즘 문제풀이 (13)
    • 그 외 개발관련 (23)
    • 일상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docker
  • angular cli
  • wsl2
  • wsl_update_x64
  • 빠른 시작 켜기
  • docker ps
  • 라이젠
  • github actions
  • jdk14
  • alt tab
  • stackset
  • transit_gateway
  • 문법 체크
  • 키보드매핑
  • 크로미움 엣지
  • 4700u
  • handson
  • 정올알고리즘 정올 알고리즘
  • ubuntu terminal
  • 빠른 시작 끄기
  • vmmem
  • AWS
  • 일어키보드
  • chromium edge
  • GIT
  • transit gateway peering
  • github
  • cfn
  • Github CLI
  • docker desktop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타진

개발 그라운드

리눅스 - 도메인 체계, 캐싱전용네임서버 만들기
운영체제/Linux

리눅스 - 도메인 체계, 캐싱전용네임서버 만들기

2018. 1. 24. 09:35
반응형




도메인의 개념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만든 그림에 더 붙여서 만들어봤다.


네임서버에서 해당하는 문자열에 상응하는 IP가 있을 경우 그 값을 돌려준다 이전포스트에서

설명했다. 만약 돌려줄 값이 없다면? 접근실패로 끝나는가?


아니다. 네임서버에서 없을 경우 네임서버는 루트 네임서버에 요청한다.


www.naver.com 일 경우


루트네임서버에 요청하고 루트 네임서버는 com 을 기반으로


다른 네임서버에 정보를 전달한다.


com네임서버는 naver를 기반으로 정보를 넘겨줄 다음 네임서버를 찾을 것이다.


이렇게 반복해서 주소값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졌을 때


ip주소를 넘겨주고 웹페이지에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다.







그렇다면 리눅스에서 캐싱 전용 네임서버를 구축해보겠다.


어떠한 설정도 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 서버는 루트를 참조하게 될 것이다.





yum -y install bind bind-chroot


먼저 bind-chroot 을 설치한다.


네임서버가 될 프로그렘이다,








vi /etc/named.conf


네임서버에 접근할 ip와

쿼리 허용 ip를 설정하는 곳이다.


체크된 곳을 다음으로 바꾸어준다.













이렇게 바꾸어준다.













다음으로 systemctl status named 를 입력


active 되어있지 않다면 active 작업을 하고


disalbed 도 


systemctl enable named


로 able로 바꾸어 주자.












firewall-config


로 들어가 설정을 영구적으로 바꾼 뒤


dns 를 체크한다.


다음 옵션에서 firewall 다시 불러오기를 누른 후 창 닫기














이제 테스트를 해보자


nslookup 을 누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ip가 돌아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 머신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인 192.168.111.2 는 잘 돌아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다음으로


우리가 만든 네임서버로 바꾸고 테스트를 해보자


nslookup 상태에서


server [자기IP]


로 네임서버를 바꾸어준다.








잘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처음에 보았듯이 네임서버가 루트네임서버에 요청을 한 후


얻은 결과값을 리턴해 준것이다.








내부에서 테스트는 끝났으니


외부에서 테스트를 해보자






난 다른 가상머신에서 테스트를 했다.


vi /etc/resolv.conf 로 접속 후



아까 구축한 네임서버로 ip를 바꾸어준다.











그리고 핑을 때려보면


잘 응답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도 방금 만든 네임서버가 잘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아주 간단한 캐싱전용네임서버 만들기를 마치겠다












아래는 yum -y install elinks 로 그냥 테스트 해본 스샷이다.





반응형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마스터 네임 서버 만들기  (0) 2018.01.24
리눅스 - 네임 서버 개념, ip 주소 획득 경로  (0) 2018.01.22
리눅스 - SSH, VNC CentOS, 윈도우  (1) 2018.01.22
    '운영체제/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 라운드 로빈 서버
    • 리눅스 - 마스터 네임 서버 만들기
    • 리눅스 - 네임 서버 개념, ip 주소 획득 경로
    • 리눅스 - SSH, VNC CentOS, 윈도우
    타진
    타진
    vulnerable1324@gmail.co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