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진
개발 그라운드
타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프로그래밍 (65)
      • Java (28)
      • Android (1)
      • Web (19)
      • Web-Spring (12)
      • R (5)
      • Angular (0)
    • 운영체제 (17)
      • Linux (14)
      • Docker(vmware) (3)
    • 클라우드 (4)
      • aws (0)
      • aws_handson (4)
    • 개발문제해결 (25)
      • Exception (12)
      • 알고리즘 문제풀이 (13)
    • 그 외 개발관련 (23)
    • 일상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정올알고리즘 정올 알고리즘
  • docker ps
  • 4700u
  • 문법 체크
  • handson
  • docker desktop
  • 크로미움 엣지
  • ubuntu terminal
  • GIT
  • Github CLI
  • transit_gateway
  • 일어키보드
  • docker
  • angular cli
  • vmmem
  • 키보드매핑
  • transit gateway peering
  • alt tab
  • github
  • wsl_update_x64
  • stackset
  • AWS
  • 빠른 시작 끄기
  • 라이젠
  • cfn
  • 빠른 시작 켜기
  • jdk14
  • github actions
  • wsl2
  • chromium edge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타진

개발 그라운드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Oracle을 사용하기
프로그래밍/Web-Spring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Oracle을 사용하기

2017. 11. 15. 21:04
반응형



이번 페이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오라클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기록할 것이다.


스프링에서 오라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Oracle JDBC driver를 로컬 메이븐 저장소에 추가해주어야 한다.


<!--

 여기서 잠깐 메이븐에 대해 설명하자면

메이븐이라는 것은 빌드 관리 체제로,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해주고, 의존성이 있는 경우 상위 라이브러리까지 알아서 

사용자 홈디렉터리 아래 jar 파일을 모아주는 라이브러리 관리 도구이다.. 



http://maven.apache.org/what-is-maven.html


메이븐 사이트의 개요 설명 란이다. 더 궁금하신 분은 이쪽으로


-->


왜 maven이 드라이버를 직접 추가하지 못하나 의문이 들어 찾아보았더니


maven과 oracle의 저작권 문제 때문이라는 글을 보았다.


maven에서 oracle 드라이버를 직접 활용한다면 법률분쟁의 소지가 있어


우리가 메이븐 인스톨러를 직접 다운 받고, 레포지토리에 추가해줘야 해주고 라이브러리로 참고해야한다는 이야기이다.


순서대로 해보자


먼저 메이븐 인스톨러를 다운받는다



https://maven.apache.org/download.cgi


밑의 파일을 다운받아 준다.


그리고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둔다


그 후 path를 추가해줘야한다



내 pc를 우클하여 속성에 들어간 후


고급 시스템 설정


환경변수 탭에 들어간다



시스템 변수에서


path 변수를 찾아 편집을 누른 뒤


변수 값에 아까 메이븐 인스톨러를 설치해준 경로를 설정해준다




여기까지 끝낸 뒤 윈도우키+r -> cmd로 명령 프로토콤을 열어준다


먼저 mvn -v를 입력해보자


아래의 결과가 나온다면 path 설정이 정확히 된 것이다



위의 결과창을 확인했다면


오라클 라이브러리를 로컬에 저장하는 코드를 입력해야한다.


mvn install:install-file -Dfile="파일이름(위치까지)" -DgroupId=그룹아이디 -DartifactId=파일이름 -Dversion=버전 -Dpackaging=jar


코드는 위와 같다.


각자 사용자의 환경마다 다를테니 맞추어서 입력하도록 하자


나의 경우 아래와 같다.


mvn install:install-file -Dfile=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jdbc\lib\ojdbc6.jar -DgroupId=com.oracle -DartifactId=ojdbc6g -Dversion=11.2.0 -Dpackaging=jar







위의 결과창이 나온다면 성공이다.



11g


or



12c




위의 경로에서 설치가 잘 됬는지 확인 하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로 돌아와


pom.xml을 열어서 아래의 디펜던시를 추가한다.


<!-- Oracle JDBC 라이브러리 -->
<dependency>
<groupId>com.oracle</groupId>
<artifactId>ojdbc6g</artifactId>
<version>11.2.0</version>
</dependency>


추가하면 intellij의 경우 changes import 알림창이 뜰 것이다.


import를 하자


이클립스의 경우는 자동을 추가될 것이다.


이클립스는 maven dependencies를 열어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intellij의 경우 project structure - modules - dependencies 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추가 이후 아티펙트에서 available elements에서 output root로 옮겨주는거 잊지 말자)





위로 인해 준비 과정은 끝났다.


다음부터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insert, update 등을 해보도록 하겟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Web-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에서 mybatis 사용법  (0) 2017.11.25
junit을 통한 테스트 클래스 만들기  (0) 2017.11.15
@ResponseBody, jackson-databind 라이브러리 활용  (0) 2017.11.15
    '프로그래밍/Web-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 - 파일 업로드 하기
    • Spring에서 mybatis 사용법
    • junit을 통한 테스트 클래스 만들기
    • @ResponseBody, jackson-databind 라이브러리 활용
    타진
    타진
    vulnerable1324@gmail.co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