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진
개발 그라운드
타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프로그래밍 (65)
      • Java (28)
      • Android (1)
      • Web (19)
      • Web-Spring (12)
      • R (5)
      • Angular (0)
    • 운영체제 (17)
      • Linux (14)
      • Docker(vmware) (3)
    • 클라우드 (4)
      • aws (0)
      • aws_handson (4)
    • 개발문제해결 (25)
      • Exception (12)
      • 알고리즘 문제풀이 (13)
    • 그 외 개발관련 (23)
    • 일상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alt tab
  • 빠른 시작 끄기
  • wsl2
  • 키보드매핑
  • GIT
  • ubuntu terminal
  • transit gateway peering
  • 정올알고리즘 정올 알고리즘
  • wsl_update_x64
  • angular cli
  • stackset
  • docker
  • transit_gateway
  • 일어키보드
  • AWS
  • jdk14
  • cfn
  • handson
  • github actions
  • chromium edge
  • 문법 체크
  • Github CLI
  • 4700u
  • github
  • 빠른 시작 켜기
  • docker desktop
  • docker ps
  • 라이젠
  • 크로미움 엣지
  • vmmem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타진

개발 그라운드

@ResponseBody, jackson-databind 라이브러리 활용
프로그래밍/Web-Spring

@ResponseBody, jackson-databind 라이브러리 활용

2017. 11. 15. 19:59
반응형

이 포스팅에서는


@ResponseBody와 jackson을 활용해보도록 하겠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Controller
public class controller3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controller3.class);

@RequestMapping(value = "/rb-test")
@ResponseBody
public String testString() {
logger.info("testString() 호출");

return "Hello, Spring!";
}

@RequestMapping(value = "/json-test")
@ResponseBody
public Product testJson() {
logger.info("testJson() 호출");

return new Product(101010, "바바", 500);
}

}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달아준다면


/rb-test 로 들어갈 시


Hello, Spring을 바로 뛰어주게 된다.


결과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간단한 페이지다




밑의 /json-test는  jackson-databind의 연습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Product 모델클래스를 만들었다(코드, 이름, 가격을 구현한 클래스) 그 코드를 직접 생성하여


데이터 정보를 보내주는 컨트롤러 이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ackson-databind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줘야 한다.


이미 pom.xml에 추가해줫지만


사이트의 이용 방법 겸 추가하는 방법을 서술한다.



https://mvnrepository.com/



메이븐에 관련된 여러가지 라이브러리와 자료들을 구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이곳에서 jackson-databind를 검색한다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databind/2.9.2


아니면 이 페이지로 직접 들어가서 

밑의 maven 코드를 복사한다.


web폴더 아래 pom.xml을 연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추가해주자.





이 이후 자동으로

아래에 import changes 가 뜰 것이다.

그것을 클릭한 후


File - Project Structure - module - dependencies 에 추가된 것이 확인되면 성공이다.


artifact의 available elements에서 왼쪽으로 옮겨주는 것도 잊지말자


이미 여러번 한 작업이기에 사진으로 남기지는 않았다.



그러면 위의 product 개체를 직접 리턴하는

코드가 컴파일 에러없이 잘 실행될것이다.


결과를 보자


깔끔하다.


이 구성은 toString을 따르는건지

아니면 그냥 SpringFramework에서 알아서 해주는건지는 잘 모르겠다.


-----------------------------------


차후에 Json 모양임을 알았다 ㅡㅡ;



반응형

'프로그래밍 > Web-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nit을 통한 테스트 클래스 만들기  (0) 2017.11.15
MVC Patterns 기본적 컨트롤러 생성 / redirect 활용  (0) 2017.11.15
intelliJ에서 SpringMVC 생성하기  (0) 2017.11.15
    '프로그래밍/Web-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Oracle을 사용하기
    • junit을 통한 테스트 클래스 만들기
    • MVC Patterns 기본적 컨트롤러 생성 / redirect 활용
    • intelliJ에서 SpringMVC 생성하기
    타진
    타진
    vulnerable1324@gmail.co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