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진
개발 그라운드
타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프로그래밍 (65)
      • Java (28)
      • Android (1)
      • Web (19)
      • Web-Spring (12)
      • R (5)
      • Angular (0)
    • 운영체제 (17)
      • Linux (14)
      • Docker(vmware) (3)
    • 클라우드 (4)
      • aws (0)
      • aws_handson (4)
    • 개발문제해결 (25)
      • Exception (12)
      • 알고리즘 문제풀이 (13)
    • 그 외 개발관련 (23)
    • 일상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vmmem
  • angular cli
  • handson
  • github actions
  • alt tab
  • 빠른 시작 켜기
  • Github CLI
  • chromium edge
  • docker ps
  • wsl_update_x64
  • 4700u
  • 문법 체크
  • transit_gateway
  • AWS
  • wsl2
  • jdk14
  • cfn
  • 키보드매핑
  • github
  • docker desktop
  • 크로미움 엣지
  • docker
  • ubuntu terminal
  • 빠른 시작 끄기
  • stackset
  • transit gateway peering
  • 일어키보드
  • GIT
  • 라이젠
  • 정올알고리즘 정올 알고리즘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타진

개발 그라운드

리눅스 - CentOs, Oracle 설치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
운영체제/Linux

리눅스 - CentOs, Oracle 설치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

2018. 2. 9. 22:08
반응형



이 페이지에서는 오라클을 설치해보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


먼저 제 가상머신은 현재 오라클을 설치할 수 있을만큼 공간이 크지 않기 때문에


임시적으로 2G를 늘려 사용할 것입니다.


공간이 충분하신 분들은 패스해주세요








dd if=/dev/zero of=/swapfile bs=1024 count=4194304


를 입력해줍시다.









mkswap /swapfile 로 swap


swapon /swapfile


순서대로 따라합시다.


swapon -s 에서 swapfile이 보이면 성공입니다.








cd /etc/rc.d 로 이동한뒤


chmod 755 rc.local 로 권한을 수정해줍시다


그리고 vi rc.local 로 편집을 해줘야 합니다.








swapon /swapfile 을 적어두면


재부팅 되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공간이 됩니다.








재부팅 후 확인해봐도 /swapfile 이 살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라클 리눅스 버전을 다운받아줍니다.


저는 이쪽에서 받았습니다.


http://www.oracle.com/technetwork/database/database-technologies/express-edition/downloads/index.html






설치를 합시다.









service oracle-xe configure


로 기본설정을 해줍시다.







그리고 서비스를 시작해 줍니다.


서비스를 시작하고 환경설정 스크립트를 한번 실행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것도 재부팅되면 자동으로 실행되게끔 해줍시다.


vi /etc/bashrc


로 들어갑시다.







위에서 실행한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서 적으면 됩니다.










그리고 firewall-config 에 들어가서


방화벽을 해제해 줘야합니다.






오라클은 centos와 상관없는 유틸이기 때문에


포트번호로 해제해 줍시다.


순서대로 진행하고 


옵션에서 방화벽 다시불러오기를 클릭하면 설정은 마무리 됩니다.














그리고 브라우저에서


 자기 ip:8080/apex 를 하면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오라클 설정은 이쪽에서 하면 됩니다.







우리는 터미널로 테이블을 만들고


간단하게 데이터를 넣어보겠습니다.





먼저 테이블들을 작업할 만들 폴더를 만들고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게끔 권한을 수정해줍니다.


그리고 sqlplus로 실행 후


테이블을 만들 공간을 만들어줍니다










select로 조회해서 방금 만든 shopping_db 가 나오면 생성이 완료된 것입니다.


그리고 테이블을 만들어줍시다.












방금 만든 테이블을 확인한 뒤


데이터를 직접 넣어본 작업입니다.








이상으로 리눅스 CentOS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설치 실습을 마칩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MariaDB 테이블 만들기, 데이터 넣기  (0) 2018.01.30
리눅스 - MariaDB 설치, 계정생성, 로그인  (0) 2018.01.27
리눅스 - 센드메일 서버 구현 2  (0) 2018.01.26
    '운영체제/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 MariaDB 테이블 만들기, 데이터 넣기
    • 리눅스 - MariaDB 설치, 계정생성, 로그인
    • 리눅스 - 센드메일 서버 구현 2
    • 리눅스 - 센드메일 서버 구현 1
    타진
    타진
    vulnerable1324@gmail.co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