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진
개발 그라운드
타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 프로그래밍 (65)
      • Java (28)
      • Android (1)
      • Web (19)
      • Web-Spring (12)
      • R (5)
      • Angular (0)
    • 운영체제 (17)
      • Linux (14)
      • Docker(vmware) (3)
    • 클라우드 (4)
      • aws (0)
      • aws_handson (4)
    • 개발문제해결 (25)
      • Exception (12)
      • 알고리즘 문제풀이 (13)
    • 그 외 개발관련 (23)
    • 일상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4700u
  • angular cli
  • GIT
  • 빠른 시작 끄기
  • 일어키보드
  • transit_gateway
  • ubuntu terminal
  • jdk14
  • docker desktop
  • 문법 체크
  • wsl2
  • cfn
  • Github CLI
  • 라이젠
  • wsl_update_x64
  • chromium edge
  • 빠른 시작 켜기
  • vmmem
  • github
  • docker ps
  • 크로미움 엣지
  • 정올알고리즘 정올 알고리즘
  • docker
  • alt tab
  • AWS
  • transit gateway peering
  • stackset
  • github actions
  • 키보드매핑
  • handson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타진

개발 그라운드

프로그래밍/Web

JSP에서 내장객체

2017. 11. 11. 09:06
반응형


JSP 내장 객체:
    JSP가 컴파일되서 변환된 
서블릿 클래스의 _jspService() 메소드가 갖고 있는 변수들
  • request: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request)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객체
  • response: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응답(response) 정보를 갖고 있는 객체
  • pageContext: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현재 페이지
  • session: 상태 유지 관리를 위한(session) 정보
  • application: 서블릿의 context 정보
  • config: 서블릿의 설정 정보
  • out: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문자열을 쓰기 위한 출력 스트림
  • page: page 내부 객체는 JSP 페이지 그 자체를 나타내는 객체
  • exception: exception 내장 객체는 JSP 페이지에서 예외가 발생하였을 경우 예외를 처리할 페이지를 지정하였을 때 예외 페이지에 전달되는 객체
   내장 객체와 같은 이름으로 변수를 선언하면 안됨
   내장 객체들은 scriptlet 안에서 언제든지 사용가능.
   out 객체가 있기 때문에 JSP에서는 response.getWriter()를 호출하면 안된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 Model1 패턴을 적용한 JDBC 접근 방법 정리  (0) 2017.11.11
JSTL 정리 (2/2)  (0) 2017.11.11
JSTL 정리 (1/2)  (0) 2017.11.11
    '프로그래밍/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VC Model2 패턴 / 간이 게시판 제작 기록 (1/4)
    • MVC Model1 패턴을 적용한 JDBC 접근 방법 정리
    • JSTL 정리 (2/2)
    • JSTL 정리 (1/2)
    타진
    타진
    vulnerable1324@gmail.com

    티스토리툴바